의상 義湘 의상 義湘 625~702 신라의 고승. 신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로서 원교국사(圓敎國師)라고도 한다. 661년 당나라로 건너가 장안(長安)의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에서 지엄(智儼)의 가르침을 받았다. 670년에 귀국하여 676년에는 부석사(浮石寺)를 창건, 화엄종 포교에 주력하였다. 또 문무왕에게 상서..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을지문덕 乙支文德 을지문덕 乙支文德 ?~? 살수대첩(薩水大捷)을 승리로 이끈 고구려의 장군. 《자치통감》에는 위지문덕(尉支文德)으로 통한다. 612년(영양왕 23) 수나라 양제는 수륙 113만 명에 달하는 대군을 직접 인솔하고 고구려를 침략하였으나 살수(薩水;지금의 청천강)에서 을지문덕의 맹렬한 공격을 받아 크게 패..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윤봉길 尹奉吉 윤봉길 尹奉吉 1908~32 독립운동가. 충청남도 예산 태생. 1926년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 김구(金九)가 주도하는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에 가입하였다. 32년 김구의 지령을 받고 일본군의 상하이사변[上海事變] 전승기념식을 하는 훙커우공원[虹口公園]에 들어가 폭탄을 던져 일본 거류민단장과 파견.. 공부방/역사인물 2008.08.30
윤동주 尹東柱 윤동주 尹東柱 1917~45 시인. 북간도 태생. 아명은 해환(海煥).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였고 일본 릿쿄대학 [立敎大學]에서 수학하고, 1943년 도시샤대학 [同志社大學] 영문과에 재학 중 사상범으로 체포되어, 일본 후쿠오카 [福岡]형무소에서 복역 중 옥사하였다. 용정(龍井)에서 중학생 때부터 등에 .. 공부방/역사인물 2008.08.30
유정 惟政 유정 惟政 1544~1610(중종39∼광해군2) 조선시대의 승려· 의병장. 성은 임(任). 자는 이환(離幻), 호는 사명당(四溟堂)· 송운(松雲)· 종봉(鍾峯). 법명은 유정.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 본관은 풍천. 경상남도 밀양 태생. 1561년 승과에 급제, 75년 봉은사(奉恩寺)에서 휴정(休靜)의 법을 이어받.. 공부방/역사인물 2008.08.30
유관순 柳寬順 유관순 柳寬順 1904~20 독립운동가. 충청남도 천안 출신. 1919년 4월 2일 이화학당 재학 당시 고향인 아오내 장터에서 시위를 지휘하며 만세를 부르다가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의 항소심 법정에서 검사에게 걸상을 집어던져, 법정모독죄가 가산되어 7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에.. 공부방/역사인물 2008.08.30
원효 元曉 원효 元曉 617~686(진평왕39~신문왕6) 신라의 고승. 속성은 설(薛), 아명은 서당(誓幢)· 신당(新幢). 설총(薛聰)의 아버지이다. 648년 (진덕여왕 2) 황룡사에 들어가 각종 불전을 섭렵하며 수도에 정진하였다. 661년 당나라 유학길에 당상성(唐項城;南陽)에 이르러 한 고총(古塚)에서 잠을 자다가 잠결에 마신 .. 공부방/역사인물 2008.08.30
태조왕건 太祖 태조왕건 太祖 877∼943(헌강왕3~태조26) 고려 제1대 왕(재위 918∼943). 이름은 왕건(王建), 자는 약천(若天), 시호는 신성(神聖), 본관은 개성(開城). 금성태수(金城太守) 융(隆)의 아들이다. 아버지를 따라 궁예의 휘하에 들어가 많은 공을 세웠다. 궁예가 세력이강대해지면서 폭정을 자행하는 등 민심을 잃..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9
온조왕 溫祚王 온조왕 溫祚王 ?~28(온조왕46) 백제의 시조(재위 BC 18~AD 28).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東明聖王) 주몽의 셋째 아들이다. 형 비류 (沸流)와 함께 남하하여 비류는 미추홀(彌鄒忽)로 가고, 온조는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십제(十濟)라 하였다. 비류가 죽고 그 백성들이 위례성에 모여들..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9
연개소문 淵蓋蘇文 연개소문 淵蓋蘇文 ?~665(보장왕24) 고구려 말기에 큰 권력을 행사하였던 재상. 개소문은 개금(蓋金)이라고도 한다. 15세에 아버지의 직책을 계승하여 동부대인(東部大人) 대대로가 되었으며, 642년 영류왕을 살해, 보장왕을 옹립하고, 스스로 대막리지가 되어 정권을 장악하였다. 신라와 당나라에 적대하..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