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중부 鄭仲夫 정중부 鄭仲夫 1106~79(예종1~명종9) 고려시대의 무신. 본관은 해주. 왕이 무신들을 차별대우하는데 불만을 품고 있다가, 1170년 왕의 보현원(普賢院) 행차 때 문신의 횡포에 격분하여 문신들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이어 의종과 태자는 유배시키고, 명종(明宗)을 옹립하였다. 73년 동북면 병마사간의..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정약용 丁若鏞 정약용 丁若鏞 1762~1836(영조38~헌종2) 조선 후기의 학자· 문신. 자는 미용(美鏞)· 송보(頌甫),호는 다산(茶山). 시호는 문도(文度). 본관은 나주. 광주 출신. 이승훈(李承薰)의 처남이다. 천주교인이라 하여 같은 남인 공서파(功西波) 의 탄핵을 받고 해미(海美)로 유배되었다. 94년 경기도 암행어사로 크..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정몽주 鄭夢周 정몽주 鄭夢周 1337∼92(충숙왕 복위6~공양왕4) 고려말의 문신· 학자.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은 연일. 영천 출생. 1360년 문과에 장원한 뒤 벼슬이 우문관대제학에 이르기까지, 명(明)나라와 일본에 대한 외교적 수완을 비롯하여 왜구 토벌, 여진족 토벌 등 공로가 혁혁..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전봉준 全琫準 전봉준 全琫準 1855~95 조선 말 동학농민운동의 지도자. 자는 명숙(明淑), 호는 해몽(海夢). 본관은 천안. 별명은 녹두장군(綠豆將軍). 전라북도 태인 출신. 아버지가 민란의 주모자로 처형되자, 동학에 입교하여 고부접주로 임명되었다. 1892년(고종29) 고부군수로 부임한 조병갑(趙秉甲)이 탐학을 자행하..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장영실 蔣英實 장영실 蔣英實 ?~? 조선시대의 과학기술자. 본관은 아산. 기녀(妓女)의 소생으로 동래현의 관노 출신이다. 과학적 재능이 있어 제련 · 축성(築城)· 농기구· 무기 등의 수리에 뛰어나, 1423년(세종 5) 왕의 특명으로 발탁되어 상의원 별좌가 되면서 노예 신분을 벗었다. 33년 호군(護軍)에 올라 혼천의(渾..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장수왕 長壽王 장수왕 長壽王 394~491(광개토왕4~장수왕79) 고구려 제20대 왕(재위 413~491). 본명은 거련(巨連)· 연(璉).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413년 아버 지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427년 만주 퉁거우[通溝] 지방의 국내성(國內城)에서 평양으로 천도하여 적극적인 남하정책을 추진하였다. 승려 도림(道琳)을 첩자로 써서 ..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장보고 張保皐 장보고 張保皐 ?~846(문성왕8) 신라시대의 무장. 본명은 궁복(弓福)· 궁파(弓巴). 흥덕왕(興德王)때 해적들의 인신매매를 근절 시키기 위하여 왕의 허락을 얻어 1만명의 군사를 이끌고 청해(淸海: 지금의 莞島)에 진을 설치한 후, 스스로 청해진 대사가 되어 인근에 출몰하는 해적을 완전 소탕하였다. 또..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임꺽정 林巨正 임꺽정 林巨正 1928년 11월 21일부터 39년 3월 11일까지 에 연재된 홍명희의 장편 대하소설. 조선중기 황해도에서 몰락한 농민과 천인들을 규합하여 화적패를 이루고 부당한 수탈에 대항하면서 지배층을 위협하고 농민들에 희망을 주었다는 의적 임꺽정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연산군 이후 명종대까지 이..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일연 一然 일연 一然 1206~89(희종2~충렬왕15) 고려 후기의 승려· 학자. 속성은 김(金). 이름은 견명(見明). 자는 회연(晦然), 호는 무극(無極) 목암(睦庵). 시호는 보각(普覺). 경상북도 경산 출신 1227년 승과(僧科)에 급제한 뒤 46년 선사(禪師), 59년 대선사가 되었다. 61년 왕명으로 선월사(禪月寺) 주지가 되었고, 77년 ..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이항복 李恒福 이항복 李恒福 1556∼1618(명종11∼광해군10)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자상(子常), 호는 백사(白沙)· 필운(弼雲)· 동강(東岡). 시호는 문경 (文敬). 본관은 경주. 1580년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가 되었다. 99년 좌의정, 이어 영의정 등을 지내고 1602년 오성부원군에 진봉되었다. 17년 폐모론(廢母論..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