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10> 농업기상학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농업기상학 ☜ '나라는 백성을 근본으로 삼고 백성은 먹는 것으로 하늘을 삼는다. 농사하는 것은 옷과 먹는 것의 근원으로서 왕자(王者)가 정치에서 먼저 힘써야 할 것이다… 진실로 인사(人事)를 다하였다면 비록 천운이 동반되지 않더라도 그 재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 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2008.09.26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9> 해시계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해시계 ☜ '처음으로 앙부일귀(仰釜日晷)를 혜정교와 종묘 앞에 설치하여 해그림자로 시각을 알도록 했다. 무릇 모든 시설에 있어 시각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밤에는 경루(更漏 물시계)가 있으나 낮에는 알기 어렵다. 구리를 부어서 그릇을 만들었으니 모양이 가마솥(釜)과 .. 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2008.09.26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8> 경복궁 천문대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경복궁 천문대 ☜ "무릇 인사의 동정(動靜)하는 기틀은 실로 해와 별의 운행하는 법칙에 매였고, 해와 별의 운행은 의상(儀 천체위치관측기기, 象 천체의 모형)을 갖추어야 밝게 나타나므로 옛 성인들이 반드시 정치하는 도의 첫째 일로 삼았으니, 요의 역상(曆象 역법을 계산).. 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2008.09.26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7> 천문관측기기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천문관측기기 ☜ 세종 14년(1432)에 임금께서 경연에 나아가 역상의 이치를 논하다가 '우리나라가 멀리 바다 밖에 있어서 모든 것을 한결같이 중화의 제도에 따랐으나 오직 하늘을 관찰하는 기구만 부족한 점이 있다… (그러니 중국의) 고전을 연구하여 관측기기를 창안하라'고.. 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2008.09.26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6> 갑인자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갑인자 ☜ 금속재료기술의 결정체 '태종께서 처음으로 주자소를 설치하시고 글자를 주조할 때에 조정 신하들이 모두 이룩하기 어렵다고 하였으나 태종께서 강력히 추진하여 모든 책을 인쇄해 널리 폈다… 근래에 북벌(여진족 정벌)로 병기를 만드느라 구리를 많이 써서 모자.. 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2008.09.26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5> 옥루(玉漏)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옥루(玉漏) ☜ 흠경각루, 일명 옥루는 왕에게 사용하는 玉자에서 알 수 있듯이 임금의 시계이다. 자격루가 백성들에게 하루 일과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국가 표준시계였다면 옥루는 장영실이 세종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만든 궁정 물시계였다. 송나라 소송이 만든 수운의상.. 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2008.09.26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4> 자격루(하)-원리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자격루(하)-원리 ☜ 조선왕조가 들어서고 수도를 한양으로 옮기면서 서울 종로사거리에 큰 종과 함께 물시계인 경루(更漏)를 세웠다(태조 7년 1398년). 역대 왕조가 그랬던 것처럼 백성들에게 일할 시간과 쉬는 시간을 알려주고 새 왕실의 권위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시.. 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2008.09.26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3> 자격루(상)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자격루(상) ☜ '이제 자격루를 만들었는데… 만약 이 사람이 아니었더라면 암만해도 만들어 내지 못했을 것이다. 내가 들으니 원나라 순제 때에 저절로 치는 물시계가 있었다 하나, 만듦새의 정교함이 아마도 영실의 정교함에는 미치지 못하였을 것이다. 만대에 이어 전할 기.. 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2008.09.26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2> 과학대왕 세종과의 만남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과학대왕 세종과의 만남 ☜ 장영실이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고 조선왕조가 15세기 세계최고 수준의 과학기술력을 보유할 수 있었던 것은 세종대왕이라는 위대한 지도자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세종 때에는 비단 장영실뿐 아니라 무관 출신의 뛰어난 공학자 이천과 문관인.. 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2008.09.26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1> 왜 그인가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왜 그인가 ☜ 사농공상의 지배구조 아래 수백년 동안 묻혀 있던 장영실에 대한 평가는 일제의 과학기술력 아래 나라가 복속된 이후에야 비로소 시작됐다. 일제때의 과학문화재 재조명운동은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자주성을 널리 알리는 역할은 했지만 측우기 거북선 금속활.. 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2008.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