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자랑/부산의 과학자 10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8> 경복궁 천문대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경복궁 천문대 ☜ "무릇 인사의 동정(動靜)하는 기틀은 실로 해와 별의 운행하는 법칙에 매였고, 해와 별의 운행은 의상(儀 천체위치관측기기, 象 천체의 모형)을 갖추어야 밝게 나타나므로 옛 성인들이 반드시 정치하는 도의 첫째 일로 삼았으니, 요의 역상(曆象 역법을 계산)..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7> 천문관측기기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천문관측기기 ☜ 세종 14년(1432)에 임금께서 경연에 나아가 역상의 이치를 논하다가 '우리나라가 멀리 바다 밖에 있어서 모든 것을 한결같이 중화의 제도에 따랐으나 오직 하늘을 관찰하는 기구만 부족한 점이 있다… (그러니 중국의) 고전을 연구하여 관측기기를 창안하라'고..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4> 자격루(하)-원리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자격루(하)-원리 ☜ 조선왕조가 들어서고 수도를 한양으로 옮기면서 서울 종로사거리에 큰 종과 함께 물시계인 경루(更漏)를 세웠다(태조 7년 1398년). 역대 왕조가 그랬던 것처럼 백성들에게 일할 시간과 쉬는 시간을 알려주고 새 왕실의 권위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시..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2> 과학대왕 세종과의 만남

☞ 부산의 과학자 장영실 과학대왕 세종과의 만남 ☜ 장영실이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고 조선왕조가 15세기 세계최고 수준의 과학기술력을 보유할 수 있었던 것은 세종대왕이라는 위대한 지도자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세종 때에는 비단 장영실뿐 아니라 무관 출신의 뛰어난 공학자 이천과 문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