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盧武鉉 노무현 盧武鉉 1946~2009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재위 2003~2008). 해방 이듬해인 1946년 경남 김해의 시골 농가에서 태어나 1966년 부산상고를 졸업했다. 1975년 사법시험에 합격해 대전지법 판사를 지내다 1978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했다. 1981년 시국 사건의 변호를 맡기 시작하면서 인권변호사로 변신해 1987년..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효종 孝宗 효종 孝宗 1619~59(광해군11~효종10) 조선 제17대 왕(재위 1649~59). 자는 정연(靜淵), 호는 죽오(竹梧). 이름은 호(淏). 시호는 명의(明義). 인조의 둘째 아들로서 1626년 봉림대군(鳳林大君)에 봉해졌다.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8년간 볼모로 잡혀가 있었던 원한을 풀고자 김상헌(金尙憲)· 송시열(宋時烈) 등을 ..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황희 梟喜 황희 梟喜 1363~1452(공민왕12~문종2)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 초명은 수로(壽老). 시호는 익성(翼成). 본관은 장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였으나 이성계의 간청으로 출사, 직예문춘추관· 형조판서· 대사헌·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관직에 있는 동안 농사의 ..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황진이 黃眞伊 황진이 黃眞伊 ?~? 조선시대 명기· 시인. 본명은 진(眞). 기명(妓名)은 명월. 개성 출생. 시(詩)· 서(書)· 음률에 모두 뛰어났고 용모 또한 절색이었다. 지족선사(知足禪師)· 서경덕(徐敬德)· 벽계수 (碧溪守) 등과의 일화로 유명하다. 서경덕· 박연폭포와 더불어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고 불렸다. ..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홍영식 洪英植 홍영식 洪英植 1855~84(철종6~고종21) 조선 말기의 문신. 자는 중육(仲育), 호는 금석(琴石). 시호는 충민(忠愍). 본관은 남양. 서울 출생. 1869년경부터 박규수(朴珪壽)의 지도를 받으며 김옥균(金玉均)· 박영효(朴泳孝)· 유길준 (兪吉濬) 등과 사귀었다. 1881년 일본에 다녀왔고, 83년 전권부대신(全權副大臣..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홍대용 洪大容 홍대용 洪大容 1731~83(영조7~정조7) 조선 후기의 실학자. 자는 덕보(德保), 호는 담헌(湛軒)· 홍지(弘之). 본관은 남양. 북학파 (北學派) 박지원(朴趾源) 등과 친교가 있었고, 유학보다도 군국· 경제 등 조선후기 과학사상의 발전에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숙부 억(檍)이 서장관으로 청(淸)나라에 갈 때 군..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홍경래 洪景來 홍경래 洪景來 1771~1812(영조47~순조12) 조선 후기의 민란 지도자. 본관은 남양. 몰락한 양반가문 출신으로 1798년(정조 22) 사마시에 실패한 후 각종 병서· 술서를 익히고 풍수를 배워 전국을 유랑하였다. 유랑생활 동안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삼정의 문란 등 사회의 모순을 파악하고 1811년 우군칙(禹君則)..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혜초 慧超 혜초 慧超 704~787(성덕왕3~원성왕3) 신라의 고승. 723년 당(唐)나라 광저우[廣州]에서 인도 승려에게서 밀교를 배웠으며, 이후 구법여행에 나서 인도의 불교유적을 순례하고 카슈미르, 아프가니스탄, 중앙아시아 일대까지 답사하였다. 그의 여행기《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세계적인 희귀자료로..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허준 許浚 허준 許浚 1546∼1615(명종1∼광해군7) 조선시대의 명의. 자는 청원(淸源), 호는 구암(龜巖). 본관은 양천. 1574년 내의원에 들어가 다음해 어의가 되었다.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책록되고, 1606년 양평군(陽平君)에 봉해졌으나 후에 대간의 반대로 직위가 취소되었고, 1608년 선조가 죽자 치료를 소..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
한호 韓濩 한호 韓濩 1543~1605(중종38~선조38) 조선 중기의 서예가. 개성 출생. 자는 경홍(景洪), 호는 석봉(石峯)· 청사(淸沙). 본관은 삼화. 왕희지(王羲之)· 안진경(顔眞卿)의 필법을 익혀 해(楷)· 행(行)· 초(草) 등 각체가 모두 뛰어나 국가의 여러 문서와 외교문서를 도맡아 썼다. 《석봉서법(石峯書法)》《석.. 공부방/역사인물 2008.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