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정치사회 - 2. 정치.사법제고 개혁, 희망한국의 초석을 놓다 2 정치사회 정치.사법제고 개혁, 희망한국의 초석을 놓다 2002년 12월 제16대 대통령 선거는 한국정치의 놀라운 변화였다. 노무현 정부는 국민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에 의해 탄생된 정부였다. 참여정부/참여정부 정책보고서 2010.01.12
[2] 정치사회 - 1. 대한민국 민주정치, 날개를 달다 2 정치사회 대한민국 민주정치, 날개를 달다 충청남도 청완군의 대청댐. 이곳에 대통령 전용 별장 청남대가 있다. 대통령이 찾는 날이 아니면 1년 내내 정적만 흐르던 곳. 철통같은 경호속에 가끔 대통령의 새로운 정국구상이 이른바 청남대 구상이라고 발표되기도 했다. 참여정부/참여정부 정책보고서 2010.01.12
[1] 통일외교 - 4. 함께하는 한민족, 평화 번영의 한반도 시대를 열다 1 통일외교 함께하는 한민족, 평화 번영의 한반도 시대를 열다 지난 2006년 독일 월드컵이 한창이던 7월, 북한이 동해상에 대포동 미사일을 발사했다. 그리고 3개월 뒤, 핵실험을 감행한다. 순간 화해기류를 타고 있던 미국의 대북 평화 협정에 찬물을 끼얹었고 동북아에는 긴장이 흘렀다. 참여정부/참여정부 정책보고서 2010.01.12
[1] 통일외교 - 3. 참여정부 정상외교의 한 획을 긋다 1 통일외교 참여정부 정상외교의 한 획을 긋다 실용주의에 바탕위에 국익을 우선으로 하는 전방위 정상외교를 펼쳐온 참여정부. 노무현 대통령은 국가의 이익이 되는 것이라면 지구촌 어디도 마다하지 않고 방문하였다. 총 방문국가 55개국. 지난 5년동안 지구 13바퀴의 거리. 총 51만 5천 Km를 달려왔다. 참여정부/참여정부 정책보고서 2010.01.12
[1] 통일외교 - 2. 대한민국 강군 프로젝트 국방개혁 2020 1 통일외교 대한민국 강군 프로젝트 국방개혁 2020 2007년 5월 17일. 휴전선 남북에서 모두 문이 열렸다. 그리고 문산역과 금강산역에서 출발한 두 대의 기차가 아무런 방해없이 휴전선을 넘어 달렸다. 분단을 넘어선 화해와 교류. 불과 5년 전만 해도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날이 왔다. 참여정부/참여정부 정책보고서 2010.01.12
[1] 통일외교 - 1. 2007 남북정상회담 평화번영의 새 지평을 열다 1 통일외교 2007 남북정상회담 평화번영의 새 지평을 열다 대한민국 정책을 말한다 제 1부 2007 남북정상회담 - 평화번영의 새 지평을 열다 참여정부/참여정부 정책보고서 2010.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