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집 金弘集 김홍집 金弘集 1842~96(헌종8~고종33)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 자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 이정학재(以政學齋). 초명은 굉집(宏集).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 1868년(고종 5)에 정시문과에 급제, 80년 예조참의로 수신사가 되어 일본에 다녀왔다. 귀국시 중국인 황준헌(黃遵憲)이 쓴 《조..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7
김홍도 金弘道 김홍도 金弘道 1745(영조21)~? 조선시대의 화가.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 단구(丹邱). 본관은 김해. 도화서 화원이 되어 1771년(영조 47)에 왕세손의 얼굴을 그렸고, 81년(정조 5)에 어진화사(御眞畵師)로 정조를 그렸다. 88년 스승 김응환(金應煥)이 왕명으로 일본 지도를 그리러 갈 때 그를 수행, ..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7
김좌진 金佐鎭 김좌진 金佐鎭 1889(고종26)~1930 독립운동가. 호는 백야(白冶). 충청남도 홍성 출신 1904년 고향에 호명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5년 광복단(光復團) 사건으로 3년간 복역한 후, 17년 만주로 망명하여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를 조직하고 총사령이 되어, 20년 만주 청산리(靑山里)에서 이범석(李範奭) 등과 일본..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7
김정희 金正喜 김정희 金正喜 1786~1856(정조10~철종7) 조선시대의 서화가· 문신· 문인· 금석학자. 자는 원춘(元春), 호는 완당(阮堂)· 추사(秋史). 본관은 경주. 1819년(순조 19) 문과에 급제, 성균관대사성·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24세때 연경(燕京)에 가서 경학· 금석학· 서화에 식견을 넓히고 귀국, 고증학을 ..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7
김정호 金正浩 김정호 金正浩 ?~?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 자는 백원(伯元)· 백온(伯溫), 호는 고산자(古山子). 본관은 청도. 일명 정호(). 정밀한 지도의 작성에 뜻을 품고 전국 각지를 두루 돌아다니며 30여년 간의 각고 끝에 1834년(순조 34) 《청구도(靑丘圖)》 2첩을 완성하였다. 다시 전국을 답사, 61년(철종 12) 《대동 ..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7
김유신 金庾信 김유신 金庾信 595~673(진평왕17~문무왕13) 삼국통일을 이룩한 신라의 장군· 정치가. 본관은 김해. 609년(진평왕 31)에 화랑이 되어 낭도들과 몸과 마음을 닦았다. 629년 8월 이찬(伊飡) 임영리(任永里) 등이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姓)을 칠때 중당(中幢)의 당주로서 출전, 큰 공을 세웠다. 644년 상장군이 되어 ..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7
김옥균 金玉均 김옥균 金玉均 1851~94(철종2~고종31) 조선 말기의 정치가. 자는 백온(伯溫), 호는 고균(古筠)· 고우(古愚). 시호는 충달(忠達). 본관은 안동. 1872년 알성문과에 장원급제, 교리· 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81년에 일본을 시찰하고, 이듬해에 다시 수신사 박영효(朴泳孝) 일행의 고문으로 일본을 다녀온 후에는..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7
김시습 金時習 김시습 金時習 1435~93(세종17~성종24) 조선시대의 학자.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 법호는 설잠(雪岑). 본관은 강릉. 생육신의 한사람이다. 삼각산 중흥사에서 수학 중,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 소식을 듣자, 책을 태워 버리고 중이 되어 방랑의 길을 떠났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6
김시민 金時敏 김시민 金時敏 1554~92(명종9~선조25) 조선시대의 무신. 자는 면오(勉吾). 시호는 충무(忠武). 본관은 안동. 1578년(선조 11) 무과에 급제하여 군기시에 들어갔다. 91년 진주판관(晋州判官)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죽은 목사를 대신하여 군비를 갖춘 공으로 목사가 되었다. 10월 적군이 ..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6
김소월 金素月 김소월 金素月 1902~34 시인 본명은 정식(廷湜). 그는 향토적 소재와 설화적 내용을 민요적 기법으로 노래하였다. 배재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23년 도쿄상과대학 [東京商科大學]을 중퇴하였다. 김억(金億)의 지도로 시를 쓰기시작, 1920년 <낭인(浪人)의 봄> 등을 <창조(創造)>에 발표하고.. 공부방/역사인물 2008.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