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긴 모양이 다리미 같다 하여 {다리미섬}으로 부르기도 했다. 지금 육지와 이어져 있는 해운대가 동백섬이란 섬으로 불려지고 있는 것은 오랜 옛날엔 물에 둘러싸인 섬이었기 때문일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장산에서 장산폭포를 받아 내린 물과 해운대 동북쪽의 부흥봉 주위를 받아내린 물이 모래를 실어내려 해운대 백사장 1.6㎞(옛날에는 백사십리라고 했다)를 만든 것으로도 알 수 있다. |
생긴 모양이 다리미 같다 하여 {다리미섬}으로 부르기도 했다. 지금 육지와 이어져 있는 해운대가 동백섬이란 섬으로 불려지고 있는 것은 오랜 옛날엔 물에 둘러싸인 섬이었기 때문일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장산에서 장산폭포를 받아 내린 물과 해운대 동북쪽의 부흥봉 주위를 받아내린 물이 모래를 실어내려 해운대 백사장 1.6㎞(옛날에는 백사십리라고 했다)를 만든 것으로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