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업무를 외부에서도 언제든지 볼 수 있어 업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물론 현재까지 모바일 오피스를 구현한 기업은 많지 않지만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업무를 보는 '모바일 오피스족'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편리해진 만큼 위협 요소도 존재한다. 기기 분실에 따른 정보 유출, 악성코드 감염 등 보안 위협에 자유롭지 않다. 모바일 오피스 사용자를 위협하는 요인과 사용자가 지켜야 할 보안 수칙을 소개한다. 직장인 나열심 씨는 최신 스마트폰은 기본이고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소유하고 있다. 영업 사원인 그는 외근과 출장이 업무의 일상이다. 주로 밖에서 업무를 보는 그에게 태블릿 PC는 PC보다 더 편리하다. 메일 확인은 기본이며 신속한 업무 처리를 위한 전자결재, 고객이 요청한 견적서, 고객관리, 금융결제 등 거의 모든 업무를 태블릿 PC에서 처리하고 있다. 외근이 많은 만큼 나열심 씨는 커피 전문점이나 지하철, 버스 등에서 업무를 보는 횟수도 많다. 와이파이(WI-FI)만 연결되면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볼 수 있어 편리하기 때문이다. 단말기 분실·도난, 악성코드 감염 등에 노출 하지만 모바일 기기는 휴대가 간편하지만 분실 위험이나 도난 가능성이 높아 관리 소홀로 인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분실이후에는 기기 내에 저장된 주요 정보가 제 3자에 의해 유출될 수 있고 이는 곧 회사의 정보 자산 유출로 이어질 수 있어 사용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PC 만큼 악성코드 감염에서 자유롭지 않다. 공개된 장소에서 와이파이(WI-FI)가 자동으로 연결되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보안에 취약한 경우가 많다. 무선통신 구간에서 정보를 가로챌 수도 있고(패킷 스니핑), 피싱, 파밍 등의 악성코드에 감염될 가능성도 높다. 뿐만 아니라, 악성코드에 감염된 웹사이트에 접속만 해도 감염될 수 있고, 스마트폰의 경우 문자메시지(SMS)에 링크된 URL에 접속만 해도 감염되기도 한다. 악성코드 감염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이나 금융정보 유출로 이어져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들은 문서 프로그램 사용을 위해 오피스 프로그램 앱을 설치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비용 절감을 위해 공유 사이트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사람이 많지만 여기에도 악성코드가 숨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오피스 프로그램을 내려 받을 때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백신 프로그램 설치·기본 보안 수칙 지키기 안전한 모바일 오피스가 가능하려면 위협 요소를 사전에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단말기 분실에 대비해 잠금장치를 걸어두고, 분실 시 원격 제어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안전한 모바일 환경을 위해 모바일 백신 사용은 물론 최신 업데이트를 유지하고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최신 업데이트도 필수이다. 그 외에도 보안이 되지 않은 공개된 장소에서는 와이파이 접속은 하지 않으며, 발신자가 분명하더라도 첨부 파일은 바이러스 검사를 통해 실행할 것을 권한다. 보안 위협은 도처에 산재해 있지만 사용자가 보안 수칙을 잘 지킨다면 안전하고 유용한 모바일 오피스 환경이 될 것이다.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한국인터넷진흥원, 2013.12 모바일 오피스 정보보호 안내서 [모바일 오피스족을 위한 보안 수칙] 1. 단말기 분실에 대비해 잠금장치 걸기(분실 시 원격 제어로 정보 삭제하기) 2. 중요 문서는 모바일 기기에 저장하지 않기 3. 보안 백신 사용 및 실시간 업데이트 활성화하기 4. 안전한 무선 환경에서 모바일 오피스 접속하기 5.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방문 하지 않기 6. 사용하지 않을 때는 기기를 비활성화 시키기 7. 단말기를 저장 장치로 이용하지 않기 8. 발신자가 분명하더라도 메일의 첨부 파일은 바이러스 검사 후 실행하기 9. 앱 설치 시 검증된 앱 마켓에서 평판 정보 확인 후 설치하기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한국인터넷진흥원, 2013.12 모바일 오피스 정보보호 안내서 |
'공부방 > 보안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닉형 악성코드, 대체 뭐길래? (0) | 2014.12.22 |
---|---|
간단하게 알아보는 보이스피싱 예방법 (0) | 2014.12.12 |
스마트폰에서 앱 '접근 권한' 확인하는 방법 (0) | 2014.11.27 |
SNS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0) | 2014.11.07 |
비밀번호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0) | 2014.10.31 |